메타인지
메타OO이란 보통 'OO을 너머', 'OO보다 위'라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메타인지란 인지보다 위에서 인지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계획과, 점검, 평가하는 인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효과
메타인지를 활용하게 되면 지각 능력이 정확해지고, 주의 집중 능력이 증진되며, 기억 전략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학습 과제에 적합한 전략을 활용할 수 있게 되므로 학업 성취에도 큰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메타인지 가르치기
1. 우선 메타인지가 무엇인지에 대하여 설명한 후 학습자들의 동기를 촉진합니다.
2. 메타인지 전략에 대한 시범을 보여줍니다.
3. 메타인지를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4. 체크리스트를 제공하여 메타인지 사용을 확인합니다.
인지양식
인지양식이란 학습자가 사물을 지각하고 처리할 때 반응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장독립형, 장의존형
위트킨은 정보에 대하여 개인의 지각과 사고가 맥락의 영향을 받는 정도에 따라 장독립형과 장의존형으로 분류하였습니다.
장독립형 : 사물을 지각할 때, 사물의 배경이 되는 환경에는 영향을 적게 받는 인지양식입니다.
장의존형 : 사물을 지각할 대, 사물의 배경이 되는 환경에 많은 영향을 받는 인지양식입니다.
| 장독립형 | 장의존형 |
특징 | 분석적 : 사물의 구성요소를 나누어 볼 수 있음 비사회적 : 독립적, 경쟁적 | 직관적 : 대상을 전체적으로 파악하려는 경향이 있음 사회적 : 타인의 감정과 의견에 민감함 |
학습전략 | 비구조화된 자료를 분석하여 개념과 원리를 이끌어내는 탐구학습법, 주어진 문제의 해결책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프로젝트법, 논쟁을 할 수 있는 토의법 등 | 구조화된 자료를 통한 강의식 교수법,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기회가 있는 협동학습 등 |
충동적, 반성적
케이건은 아동이 문제에 대한 반응 시간에 따라 충동적, 반성적 인지양식으로 구분하였습니다.
충동적 :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빠르게 제시하여 실수가 많은 편이다.
반성적 : 문제에 대한 여러가지 해결책을 고려하고 가장 적합한 방안을 선택하므로 문제 해결에 시간은 오래 걸리지만 실수가 적은 편이다.
'교육학 정리 > 교육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심리 - 행동주의 학습이론 (0) | 2020.06.08 |
---|---|
교육심리 - 전이와 망각 (0) | 2020.06.07 |
교육심리 - 인지주의 학습이론 (0) | 2020.06.07 |
교육심리 - 자기조절학습 (0) | 2020.06.07 |
교육심리 - 반두라의 사회인지학습이론 (0) | 2020.06.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