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학 정리/교육방법

교수이론 - 여러가지 구성주의 교수이론

by DIVIGO 2020. 6. 14.
반응형


 구성주의 교수이론

여러가지 구성주의 교수이론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인지적 도제이론

전문가의 인지과정과 문제해결방법을 모델로 하여 학습자 자신의 새로운 문제해결 방안을 모색할 수 있게 해주는 수업방법입니다. 따라서 인지적 도제이론은 메타인지적 기술과 지식의 습득을 목표로 하여, 교사와 학습자가 협력관계를 유지하며 지속적으로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전개 단계

1. 모델링 : 교사나 매체를 활용하여 문제 해결과정에 대한 시범을 보인다.

2. 코칭 : 학습자의 해결 과정을 점검하여 오류나 오해를 확인하고 수정한다.

3. 스캐폴딩 : 학생이 해결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으면 교사가 적절한 도움을 제공한다.

4. 명료화 : 학습자가 자신의 문제해결과정과 전략 등을 시범을 보이거나 명료하게 설명하여 정리하도록 하는 과정

5. 반성적 사고 : 학습자가 자신의 풀이 과정을 교사의 것과 비교, 분석하여 반성적으로 검토하는 과정

6. 탐구 : 배우지 않은 새로운 자신만의 방식을 시대해 보는 단계(자신만의 know-how)







상호적(상보적) 교수이론

상보적 교수이론은 학생들의 독해능력 향상을 돕기 위한 것으로, 읽은 내용 요약하기, 요점에 대해 질문하기, 어려운 부분 명료화하기, 다음에 무엇이 올지 예측하기 등 네 가지 전략 학습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교사와 학생의 역할을 바꾸어 학생이 수업을 주도하는 수업방법입니다.


전개 단계

인지적 도제이론을 활용하여 수업이 진행됩니다.

1. 안내 단계 : 수업 목적과 독해 전략에 대하여 설명

2. 시범 단계 : 네 가지 독해전략에 대한 시범

3. 교수적 지원제공단계 : 교사 역할을 담당할 학생을 지명하고, 학생은 독해 전략을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교사는 칭찬, 피드백, 등의 교수적 지원

4. 교수적 지원중지단계 : 학생들이 독립적으로 독해전략을 적용하고 교사는 더 이상 도움을 제공하지 않는다.




상황학습이론

상황학습이론은 전통적 학교의 학습이 효과적이지 못하고 학교에서 배운 지식이 실생활에 활용되지 않는 이유를 지식이 실제 사용되는 맥락과 분리되어 가르쳐진 결과라고 하였습니다. 따라서 상황학습이론은 학습한 지식이 정착할 수 있는 실생활과 유사한 맥락을 제공하여, 다양한 상황을 체험할 수 있는 구체적인 맥락을 통해 지식의 전이를 높이고자 하였습니다.


상황학습이론은 학생들이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서 평가에 이르는 전 과정을 주도해 나가도록 하는 학생 주도적 학습의 모델입니다. 따라서 인지적 도제 이론은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을 강조하였지만 상황학습이론은 학생들 간의 협동을 강조하였습니다. 


교수설계

1. 지식이 사용되는 맥락의 제공 : 지식의 전이 촉진

2. 실제적 과제의 사용 : 지식의 활용에 초점

3. 구체적이고 다양한 사례의 제공 : 구체적이고 다양한 사례에 많이 적용해 볼수록 전이가 촉진

4. 생성적 학습 : 정해진 해결책을 찾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해결 방안을 찾도록 강조

5. 협동학습 기회 제공 : 실생활의 문제는 사회적 논의와 합의의 과정을 거쳐 해결되므로, 학생들이 자신의 생각을 발표하고 토론하며 협의하는 과정을 통하여 자신의 생각을 반성하고 명료화 할 수 있다.

6. 학생의 자기 성찰 기회 제공

7. 교사는 학습 촉진자, 학습보조자, 동료학습자의 역할


평가

-평가와 학습의 통합 : 평가는 수업과 분리된 활동이나 최종적인 활동이 아니라 학습의 과정에 통합되어야 한다.

-실제적 평가 : 지식과 기능이 사용되는 실제적인 과정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다양한 시각을 반영 : 과제에 대한 다양한 해결방안이 나올 수 있다.

-평가의 초점 : 지식 구성 능력, 문제해결능력, 문제 해결에 대한 자기조절능력의 획득에 초점


정착적 교수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상황을 담은 영상을 학생들에게 제공하여 영상에서 등장하는 과제나 문제를 협동학습을 통하여 해결하도록 하는 수업방식입니다.




인지적 유연성 이론

인지적 유연성이란 다양한 범주의 지식을 연결하여 다양한 상황에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인지적 유연성이론은 복잡하고 다양한 실제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개념을 구성하도록 하여 인지적 유연성을 획득하도록 하는 데 초점을 둔 학습 방법입니다.


교수설계

1. 상황에 기초한 스키마의 연합체를 형성할 수 있는 주제 중심의 학습을 한다.

2. 복잡하고 다양한 소규모 사례를 제시, 상황과 문맥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인지구조를 획득하도록 한다.

3. 임의적 접근 학습 : 다양한 사례들을 비순차적으로 제시하여 특정한 과제에 대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한다.

4. 하이퍼미디어를 활용한 수업 : 컴퓨터와 같은 매체를 이용하여 다양한 문맥과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면, 잘 연결된 스키마가 형성되어 다양한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