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브루너의 발견학습(탐구학습)
브루너의 발견학습은 학문중심 교육과정을 토대로 지식의 구조의 심층적인 이해와 탐구방법을 습득하는데에 의의를 두고 있습니다.
발견학습은 교사가 구체적인 사례들을 제시하고 학생들은 사례들간의 관계(지식의 구조)를 발견하기 위해 노력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발견학습 절차와 교사의 역할
학습 절차
1. 문제 파악
2. 자료 제시 및 관찰 탐색
3. 자료 추가 제시 및 관찰 탐색
4. 규칙성 발견 및 개념 정리
5. 적용 및 응용
교사의 역할
1. 다양한 자료 준비
2. 학습자들 스스로 가설을 세우고 검증할 수 있도록 안내
특징
1. 교과를 최종적인 형태로 제공하지 않고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학습자가 직접 최종형태를 조직하도록 하는 학습방식
2. 학습자의 발견의욕을 자극하는 적절한 수준의 불확실성이 있는 문제 제시
3. 적절한 수준의 비계설정
4.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결과를 확인하고 만족을 느끼는 내적 보상을 강조
장단점
장점
1. 지식의 파지와 전이력 증진
2. 문제해결능력과 같은 고등정신기능 증진
3. 내적동기 강화
단점
1. 자칫하면 방만한 수업이 될 수 있다.
2. 개념과 원리를 발견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반응형
'교육학 정리 > 교육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수이론 - 라이겔루스의 수업이론 (0) | 2020.06.12 |
---|---|
교수이론 - 가네의 학습이론 (0) | 2020.06.12 |
교수이론 Part.2 오수벨의 유의미 학습이론 (0) | 2020.06.12 |
교수이론 Part.1 전통적 교수이론 (0) | 2020.06.11 |
교수목표와 수업목표 (0) | 2020.06.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