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학 정리/교육방법

교수이론 Part.1 전통적 교수이론

by DIVIGO 2020. 6. 11.
반응형





 교수이론 Part.1 전통적 교수이론

여러가지 전통적 교수이론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캐롤의 학교학습 모형

학습의 정도는 학습에 필요한 시간학습에 사용한 시간의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습니다. 따라서 수업의 질과 학습기회의 조정으로도 완전학습을 이룰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학습의 정도는 = f(학습에 사용된 시간/학습에 필요한 시간)으로 나타내어 지며

학습에 사용된 시간에는 학습 기회, 학습지속력이 포함되며, 학습에 필요한 시간에는 수업의 질, 적성, 수업이해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다섯 가지 변인을 개인차 변인과 수업 변인으로 나누어 살펴보겠습니다.


개인차 변인

1. 적성 : 주어진 과제를 일정 수준까지 해결하는데 필요한 시간

2. 수업이해력 : 학습과제를 이해하는 학습자의 능력

3. 학습지속력 : 학습자가 학습을 지속하려는 의욕과 태도, 학습동기


수업 변인(교수자 변인)

1. 수업의 질 : 학습과제를 효과적으로 구성하여 제시하는 것.

2. 학습기회 : 학습자에게 실제로 부여된 학습 시간을 의미


학습 극대화 방안

1. 학습에 필요한 시간 최소화 : 수업의 질을 높이면 학생들의 이해력이 상승한다.

2. 학습에 사용된 시간 최대화 : 충분한 학습기회를 제공하고, 동기화 전략을 통하여 학습지속력을 높여준다.

 




2. 스키너의 프로그램 학습

프로그램 학습이란 행동주의 원리를 이용하여 학습자 개개인의 능력에 따라 개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완전학습을 이루고자하는 학습방법입니다.


원리

1. 능동적 반응의 원리 : 각 단계마다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문제를 제시하여 적극적인 참여와 활동을 유도

2. small step의 원리 : 학습내용을 작은 단계로 나누어 점진적으로 나아가게 한다.

3. 즉각적 강화의 원리 : 문제를 풀면 바로 피드백을 제공

4. 자기 속도의 원리 : 학습자 능력에 맞는 속도로 주어진 문제를 풀며 학습을 진행


유형

직선형(Skinner) : 모든 학생에게 같은 계열의 문제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분지형(Crowder) : 문제에 대한 반응에 따라 다른 길을 개별적으로 선택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오답에 반응하면 교정학습이 가능

부첨형(Pressy) : 교과 전체가 아닌 교과서에서 필요한 부분에만 프로그램을 삽입하는 것


장단점

 장점 

1. 학습자의 능력과 속도에 맞추어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2. 언제 어디서나 학습을 할 수 있다.

3. 즉각적인 피드백이 가능하여 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단점 

1. 프로그램 개발에 상당한 비용이 사용된다.

2. 창의력 증진이나 자기의사 표현의 기회를 갖지 못한다.

3. 학생들간의 상호작용의 기회가 제공되지 못한다. 




3. 개별화 교수체제(PSI)

스키너의 프로그램 학습법을 다인수 학급에 적용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교수절차

1. 분철된 학습과제와 학습 안내서 배부

2. 자신의 진도에 따라 개별학습

3. 한 단원 학습 시 평가 : 통과하지 못하면 교정학습 후 다시 평가

4. 학습보조원(도움제공) : 교사 혹은 또래 교사 활용

5. 필요시 강의 실시



4. 적성처치 상호작용 (ATI)

적성처치 상호작용이론은 학습자의 적성과 교수방법 간에는 상호관련이 있으므로 학습자의 적성에 따라 가기 다른 수업방법이 필요하다고 하였습니다.


따라서 하나의 수업방식이 모든 학습자에게 효율적인 것은 아니며  우수한 한 가지 수업방식이 모든 학습자에게 최선의 방법이 되지 못한다고 하였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모든 학생들에게 각각의 수업으로 전개를 하기란 불가능 하기에 학습적성이 낮은 학생에게 효과적인 교수방법을 사용하면 학생들 간의 개인차를 줄일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