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목표와 수업목표
교수목표 : 해당 단원이 끝났을 때 학습자들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진술하는 것, 여러개의 수업목표를 포함
수업목표 : 한 시간의 수업이 끝났을 경우 학생들의 행동과 생각에 어떠한 변화가 일어날 것인가를 진술
수업목표의 진술방식
타일러(Tyler) 진술방식
( ex. 연립방정식을 풀 수 있다.)
1. 교사의 활동에 초점을 두고 진술하는 것이 아니라 수업이 끝난 후 학생들이 보일 행동으로 표현
2. 행동과 행동이 나타나게 될 영역인 내용이 담겨 있어야 한다.
3.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구체적인 동사를 사용
메이거(Mager)의 진술방식
( ex. 100m거리를 10초안에 뛸 수 있다.)
1. 구체적 행위동사를 사용하여 명시적으로 진술
2. 학생이 최종적으로 나타내어야 할 도착점 행동으로 표현
3. 조건 혹은 상황을 제시
4. 성취해야 할 행동이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수락조건을 제시
수업목표 진술의 일반적 원칙
1. 교사가 아닌 학생의 행동 진술
2. 도착점 행동으로 진술
3. 내용과 행동을 포함
4. 구체적인 행위동사 사용
5. 하나의 목표에는 하나의 행동만 포함
수업목표 진술의 장단점
장점
1. 교사는 자신이 가르쳐야 할 내용과 행동을 분명하게 파악하여 수업을 체계적으로 조직하고 전개할 수 있다.
2. 학생들은 자신이 무엇을 어떻게 공부 할 것인지 파악하여 학습동기를 촉진하고 효과적인 학습활동을 할 수 있다.
3. 평가 기준이 명확하게 제시되어 학생들의 학습목표 도달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어 교수-학습 개선에 용이하다.
단점
1. 수업 도중이나 후에 나타나는 새로운 목표를 반영하기 어렵다.
2. 예술 영역에서는 행동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기가 불가능하다.
3. 창의성은 구체적인 목표를 규정하기가 불가능하다.
'교육학 정리 > 교육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수이론 - 라이겔루스의 수업이론 (0) | 2020.06.12 |
---|---|
교수이론 - 가네의 학습이론 (0) | 2020.06.12 |
교수이론 Part.3 브루너의 발견학습 (0) | 2020.06.12 |
교수이론 Part.2 오수벨의 유의미 학습이론 (0) | 2020.06.12 |
교수이론 Part.1 전통적 교수이론 (0) | 2020.06.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