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학 정리/교육심리

교육심리 - 마샤의 자아정체감 & 자아개념

by DIVIGO 2020. 6. 4.
반응형




마샤의 자아정체감 상태

제임스 마샤는 에릭슨의 이론에서 5단계에 해당하는 정체감 형성을 4가지 유형으로 확장한 인물이다.


또한 마샤는 정체감 형성에 영향을 주는 2가지 요인으로 탐색(위기)와 헌신(전념)을 주장하였습니다.


유형 

탐색 

헌신 

특징

정체감 혼미

 자신의 미래가 어떻게 될지 무엇이 되고 싶은지에 대한 생각을 해 보지 못한 상태로, 대부분의 학생이 이러한 상태이다.

정체감 유예

 자기 나름의 가치를 찾기 위한 시기로 정체감 성취에 이르기 위한 과도기이다. 에릭슨의 이론에서 심리적 유예기 

정체감 확립 

 현실적인 대안들을 고려한 후 선택을 하고 이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상태이다.

정체감 유실 

 부모나 교사에 의해 결정된 진로를 목적으로 헌신하고 있는 상태이다.


에릭슨의 이론에 따르면 청소년기에 형성된 자아 정체감이 생애 전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고 합니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의 정체감 상태가 어떠한 상태인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아개념

자아개념이란 자기 자신의 능력과 가치에 대한 생각, 태도, 감정, 기대 등을 의미합니다.


자아개념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은 매우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 부모의 양육 방식, 또래의 영향, 성공과 실패에 대한 경험이 매우 중요합니다.


가정에서 부모들이 아동에게 따뜻하게 대하고 그들의 선택을 지지한다면 높은 자존감이 형성되어 긍정적인 자아개념이 형성될것 입니다. 하지만 그렇지 못한 가정에서는 부정적인 자아개념이 형성될 우려가 있습니다. 



자아개념와 학업성취는 서로에게 영향을 주는 요인이 됩니다.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은 좋은 학업성취를 이루기 위해 노력할 것이며, 학업성취가 높아지면 다시 긍정적 자아개념을 형성하게 됩니다. 

부정적인 자아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은 자신이 노력하더라도 성공할 수 없다고 생각하게 되어 학업성취를 이루려는 노력을 하지 않게 되어 학업이 떨어지게 되며 다시 부정적인 자아개념 형성에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따라서 교사는 저학년때부터 학생들이 성공경험을 갖을 수 있도록 노력하여 긍정적인 자아개념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